본문 바로가기

은근 불편한거 정리 보관소/궁금해서 찾아서 정리한거

리눅스 서버에 하드 ssd 추가하기 ( 용량 추가하기)

안녕하세요 

오늘은 리눅스 서버에 하드(hdd) 나 SSD를 추가하여

실제 폴더와 연결하는 작업까지 하겠습니다 

그리고 재부팅시 자동으로 마운트 되게 하는 옵션 이걸 뭐라고 부르는지 모르겠습니다만? 

그것까지 해보겠습니다

 

너굴맨을 믿고 따라와. 그럼 100점이니꽌.

 

우선 아래의 명령어를 통해 디스크가 마운트 되어있는지 확인 할 것 

lsblk 

위에꺼 또는 아래껄로 하면 쉽게  알 있음

sudo mount -a # 마운트 안한 디스크를 보여줌

 

MOUNTPOINTS ( 마운트 포인트 column)을 보게되면 없는 항목이 보일 거다 아마도

그게 당신이 꼽은 저장장치이다.!! 음하하! (아 근데 그건 미리 꼽기 전이랑 후랑 저 명령어 쳐서 비교해보세요) 

이제 사용할 디스크의 이름을 알았다면 아래의 명령어로 파티션을 생성해주세요

sudo fdisk /dev/디스크이름

 

/dev 하위 폴더에 디스크가 있습니다 저도 /dev 안쓰고 해봤는데 안되더군요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 

리눅스는 디스크, 키보드, 마우스 등 hardware를 /dev(device) 로 다루기 떄문에 

/dev 폴더는 하드웨어들이 모여있는 곳 입니다

 

그래서 dev로 접근해야 디스크 장치를 접근 할 수 있습니다! 

GPT에 이름에 규칙을 물어보니 다음과 같더군요 ㅋㅋㅋ 

 

nvme<컨트롤러 번호>n<디바이스 번호>

오 이런 의미 그러면 저는 m.2를 넣었기 때문에 0,1,2 즉 3번쨰 꼽는 m.2 입니다 ㅎㅎ 만약에 n1 뒤에 p1 이라고 되어는 것은 

세부 파티션을 나타낸다고 합니다 사진을 보면서 예시를 보면 더 이해가 쉽습니다 

어떠한 경우에 사용하냐면 일정 용량은 따로 디스크를  잡아서 용량을 사용할 수 도있습니다 그 예를들어서 

게임 저장 폴더랑 문서 자장 폴더를 따로 하나의 디스크에서 일정 용량을 선택하여, 따로따로 관리하고 싶을 떄! 사용하곤 합니다 

 

 

예를 들어서 nvme1n1p1 이면 두번째 nvme의 n1의 네님스페이스에 첫번째 파티션을 가리키게 됩니다

 

이제 다음은 다음 순서를 따르면 됩니다 

n   ← 새 파티션
p   ← 기본 파티션 (primary) / e 확장 파티션(Extended partition) 옵션도 있습니다 
1   ← 파티션 번호
[엔터] [엔터] ← 시작/끝 섹터 기본값
w   ← 저장하고 종료

 

저는 우선 n , p , 1 , 엔터 , 엔터 , w로 했습니다 

그러고 디스크를 포멧을 진행하였고, 

sudo mkfs.ext4 /dev/디스크이름

#xfs, btrfs, ntfs 등 다양한 포멧이 있음 사용할 목적에 따라서 골라서 하면 됨

 

이제 ! 마운트할 폴더를 생성해주세요

mkdir 원하는위치/폴더이름

 

그러고 이제 디스크와 폴더를 연결하는 마운트 작업을 합니다 

sudo mount /dev/디스크이름	/사용할_폴더_경로/사용할_폴더

 

그러면 마운트 되었나 확인 하세요! df -h로 볼 수 있습니다 ㅋ 아니면 lsblk으로 볼 수 있습니다. 

 

부팅 시 자동 마운트 설정 


UUID 확인 
sudo blkid /dev/디스크이름 
이걸 확인하면, fstab에 들어가는 UUID를 볼 수 있음

df -h | grep 디스크와연결한_폴더경로  #이 코드로 내가 마운트한 폴더를 확인 할 수 있음 


sudo vim /etc/fstab

맨 아래에 아래의 형식을 맞춰서 넣으면 됨
<device>   <mount_point>   <type>   <options>   <dump>   <fsck>

이런 것처럼 UUID는 ""로 묶어야한다. 

찾아보니 맨 뒤의 0 ,0 의 의미를  찾아봤어 

 

위에 대로 잘 따라했다면  디스크 마운트하기 쉬워!!!

내가 쓴 글 다시 보려고 만들었다 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