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근 불편한거 정리 보관소/궁금해서 찾아서 정리한거 (2) 썸네일형 리스트형 리눅스 서버에 하드 ssd 추가하기 ( 용량 추가하기) 안녕하세요 오늘은 리눅스 서버에 하드(hdd) 나 SSD를 추가하여실제 폴더와 연결하는 작업까지 하겠습니다 그리고 재부팅시 자동으로 마운트 되게 하는 옵션 이걸 뭐라고 부르는지 모르겠습니다만? 그것까지 해보겠습니다 우선 아래의 명령어를 통해 디스크가 마운트 되어있는지 확인 할 것 lsblk 위에꺼 또는 아래껄로 하면 쉽게 알 있음sudo mount -a # 마운트 안한 디스크를 보여줌 MOUNTPOINTS ( 마운트 포인트 column)을 보게되면 없는 항목이 보일 거다 아마도그게 당신이 꼽은 저장장치이다.!! 음하하! (아 근데 그건 미리 꼽기 전이랑 후랑 저 명령어 쳐서 비교해보세요) 이제 사용할 디스크의 이름을 알았다면 아래의 명령어로 파티션을 생성해주세요sudo fdisk /dev/디스크이름 .. 왜 UFT-8을 주로 사용하는 것일까? 안녕하세요 코딩하는 공대생입니다 오늘은 왜 UTF-8 을 주로 쓰는지 궁금해서 이렇게 글을 쓰게 됩니다 위키 백과에는 아래와 같이 설명 되어있습니다 UTF-8(Universal Coded Character Set + Transformation Format - 8 bit) 이란 유니코드를 위한 가변길이 문자 인코딩 방식 중 하나로, 켄 톰프슨과 롭 파이크가 만들었다 https://ko.wikipedia.org/wiki/UTF-8 UTF-8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UTF-8은 유니코드를 위한 가변 길이 문자 인코딩 방식 중 하나로, 켄 톰프슨과 롭 파이크가 만들었다. UTF-8은 Universal Coded Character Se.. 이전 1 다음